반응형
일상생활 중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되는 사자성어 예시문과 함께 정리하였습니다.
1. 사람의 성격, 태도와 관련된 사자성어
- 일석이조(一石二鳥) – 돌 하나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 (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봄)
"운동도 할 겸 친구도 만날 겸 등산을 가려고 해. 완전 일석이조 아니야?" - 동문서답(東問西答) – 동쪽을 묻는데 서쪽을 대답함 (질문과 전혀 상관없는 대답을 함)
"내일 약속 시간 몇 시냐고 물었는데, 갑자기 날씨 얘기를 하네? 완전 동문서답이야!" - 작심삼일(作心三日) – 결심이 삼일을 못 감 (의지가 약해 쉽게 포기함)
"새해 목표로 운동을 하겠다고 했는데, 벌써 안 한다고? 너 정말 작심삼일이구나." - 우유부단(優柔不斷) – 결단력이 부족하고 망설임
"메뉴 하나 고르는 데 30분이나 걸리다니, 정말 우유부단하다." - 자포자기(自暴自棄) – 스스로를 내버려 두고 포기함
"조금만 더 노력하면 되는데 왜 벌써 포기해? 자포자기하지 마!" - 감언이설(甘言利說) – 달콤한 말과 이로운 말로 남을 속임
"사기꾼들이 하는 말은 항상 감언이설이야. 쉽게 믿으면 안 돼." - 용두사미(龍頭蛇尾) – 처음은 거창하나 끝이 흐지부지함
"처음엔 엄청 열심히 하더니 결국 포기했어? 용두사미가 됐네." - 과유불급(過猶不及) –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음
"공부도 좋지만 잠을 안 자면서까지 하면 안 돼. 과유불급이야." - 박장대소(拍掌大笑) –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
"친구의 유머 감각이 너무 좋아서 박장대소하고 말았어." - 이심전심(以心傳心) – 말하지 않아도 마음이 통해 이해함
"우리는 오래된 친구라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생각을 알아. 완전 이심전심이야!" - 거두절미(去頭截尾) – 머리와 꼬리를 자름 (핵심만 말함)
"쓸데없는 이야기 그만하고 거두절미하고 결론만 말해!" - 탁상공론(卓上空論) – 현실성 없는 이론적인 논의
"실행도 못 할 계획이라면 그건 그냥 탁상공론일 뿐이야." - 천차만별(千差萬別) – 다양하게 차이가 많음
"사람마다 생각이 천차만별이라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." - 외유내강(外柔內剛) – 겉은 부드럽지만 속은 강함
"그녀는 겉으로는 조용해 보이지만 속은 강한 외유내강형 인간이야." - 진퇴양난(進退兩難) – 앞으로도 뒤로도 나아가지 못함 (곤란한 상황)
"회사를 계속 다닐지 그만둘지 진퇴양난이야." - 조삼모사(朝三暮四) – 눈앞의 이익만 보고 헷갈려함
"급여를 조금 올려준다고 좋아하는데, 결국 총액은 같잖아? 조삼모사야!" - 함흥차사(咸興差使) – 한 번 떠나면 소식이 없음
"친구가 여행 간 지 한 달째인데 연락 한 번 없네. 완전 함흥차사야." - 호언장담(豪言壯談) – 자신 있게 큰소리침
"그렇게 호언장담하더니 결국 실패했네." - 임기응변(臨機應變) –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함
"예상치 못한 질문에도 침착하게 대답하다니, 임기응변이 뛰어나네!" - 중구난방(衆口難防) – 여러 사람이 말을 하여 통제하기 어려움
"회의에서 의견이 너무 많아서 중구난방이었어."
2.노력과 배움 관련 사자성어
- 수불석권(手不釋卷) –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음 (끊임없이 공부함)
"그 친구는 항상 책을 들고 다녀. 정말 수불석권이야!" - 형설지공(螢雪之功) – 반딧불과 눈으로 공부한 노력 (어려운 환경에서도 열심히 공부함)
"어려운 환경에서도 성공한 그는 진정한 형설지공의 주인공이야." - 주경야독(晝耕夜讀) –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
"직장을 다니면서 공부까지 하다니 완전 주경야독이네." - 일취월장(日就月將) – 날로 나아지고 달로 나아감 (계속 발전함)
"꾸준히 연습하니까 실력이 많이 늘었어. 정말 일취월장했네!" - 발분망식(發憤忘食) – 끼니를 잊을 정도로 노력함
"시험 준비하느라 밥도 안 먹고 공부하다니, 완전 발분망식이네." - 학수고대(鶴首苦待) – 학처럼 목을 빼고 간절히 기다림
"택배가 언제 오나 학수고대하고 있어." - 자수성가(自手成家) – 스스로 노력하여 성공함
"그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자수성가해서 회사를 차렸어." - 십년수목 백년수인(十年樹木 百年樹人) – 나무는 10년, 사람을 기르는 데는 100년이 걸림 (교육의 중요성)
"교육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꼭 필요한 일이야. 십년수목 백년수인이라는 말도 있잖아." - 온고지신(溫故知新) –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배움
"역사를 배우면서 현재를 이해하는 것이 온고지신의 자세야." - 우공이산(愚公移山) – 우직한 사람이 산을 옮긴다 (끈기 있게 노력하면 성공함)
"매일 조금씩 연습하면 결국 해낼 수 있어. 우공이산의 정신이 필요해!" - 묘두현령(猫頭懸鈴) – 실행하기 어려운 좋은 의견
"그 계획은 묘두현령이야. 실제로 실행하기 어렵지." - 마부작침(磨斧作針) –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(끈기 있는 노력)
"계속 연습하면 결국 성공할 거야. 마부작침이라는 말도 있잖아!" - 사필귀정(事必歸正) – 모든 일은 결국 올바른 길로 감
"지금은 억울하겠지만, 사필귀정이야. 언젠가 진실이 밝혀질 거야." - 독서삼도(讀書三到) – 독서의 세 가지 방법 (눈, 입, 마음으로 읽어야 함)
"책을 읽을 땐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독서삼도를 실천해야 해." - 역지사지(易地思之) –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함
"네가 나였어도 기분이 나빴을 거야. 역지사지로 한 번 생각해 봐."
3. 삶과 인생 관련 사자성어
- 인과응보(因果應報) – 원인과 결과에 따라 보답을 받음
"나쁜 일을 하면 결국 벌을 받는 법이야. 인과응보라는 말도 있잖아." - 고진감래(苦盡甘來) – 고생 끝에 낙이 온다
"힘든 시기를 버티면 좋은 날이 올 거야. 고진감래야!" - 새옹지마(塞翁之馬) – 인생은 변화가 많아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반복됨
"이번에 실패했지만 다음에 더 좋은 기회가 있을 거야. 새옹지마야!" - 전화위복(轉禍爲福) – 화가 바뀌어 복이 됨
"처음엔 실직이 힘들었지만 덕분에 더 좋은 직장을 찾았어. 완전 전화위복이지." - 호사다마(好事多魔) – 좋은 일에는 방해가 많음
"결혼식 준비가 순탄치 않네. 역시 호사다마야." - 명불허전(名不虛傳) – 명성이 헛되이 퍼지지 않음 (이름값을 함)
"이 가게 맛집이라더니 진짜 맛있네. 명불허전이야!" - 백년해로(百年偕老) – 부부가 오랫동안 함께 살아감
"부모님은 정말 백년해로의 좋은 예시야." - 천고마비(天高馬肥) –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찜 (가을이 풍요롭다는 뜻)
"가을 날씨가 참 좋아. 딱 천고마비야." - 행운유수(行雲流水) – 흐르는 구름과 물처럼 자연스러움
"그의 삶의 태도는 행운유수처럼 여유롭다." - 기고만장(氣高萬丈) – 잘된 일로 인해 우쭐함
"시험 한 번 잘 봤다고 그렇게 기고만장하면 안 돼!" - 풍전등화(風前燈火) –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로운 상황
"지금 회사 상황이 풍전등화야. 당장 대책을 세워야 해." - 천재일우(千載一遇) – 천 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좋은 기회
"이런 제안은 정말 천재일우야. 놓치면 후회할 거야!" - 유비무환(有備無患) – 준비가 있으면 걱정할 일이 없음
"미리 대비해 둬야 해. 유비무환이라는 말도 있잖아!"

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,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,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. 중국 ≪회남자≫의 ‘인간훈(人間訓)’에 나오는 말이다.
4. 인간관계 관련
- 거자필반(去者必返) –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온다
"헤어졌다고 너무 슬퍼하지 마. 거자필반이야." - 군계일학(群鷄一鶴) – 평범한 무리 속의 뛰어난 존재
"그는 우리 팀에서 군계일학 같은 존재야." - 이구동성(異口同聲) – 여러 사람이 같은 의견을 냄
"모두가 이 계획에 찬성했어. 완전 이구동성이었어." - 파죽지세(破竹之勢) –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 (거침없는 승리)
"우리 팀은 이번 대회에서 파죽지세로 연승 중이야!" - 동고동락(同苦同樂) – 함께 고생하고 즐거움을 나눔
"친구란 동고동락하는 관계여야 진짜야."
5. 자연과 관련된 사자성어
- 우후죽순(雨後竹筍) – 비 온 뒤 죽순처럼 많아짐
"새로운 카페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어." - 풍수지탄(風樹之嘆) – 부모에게 효도하지 못한 것을 후회함
"부모님께 자주 연락해야 해. 풍수지탄이 되기 전에." - 전전반측(輾轉反側) –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함
"면접을 앞두고 전전반측하며 밤을 새웠다." - 노심초사(勞心焦思) – 걱정과 고민이 많음
"시험 결과가 걱정돼서 노심초사 중이야." - 대기만성(大器晩成) – 큰 인물은 늦게 성공함
"지금은 늦어 보여도 넌 분명 성공할 거야. 대기만성이니까!"
반응형
댓글